민간싱크탱크인 GS&J인스티튜트는 지난달 25일 ‘한우 도축두수 고점’이라는 한우동향을 발표했다. 독자들의 이해를 돕기 위해 요약내용을 정리했다. <편집자 주>
GS&J인스티튜트, 한우동향 발표
경기침체 지속돼 한우고기 수요 위축
도매가격 3월 1만7065원…하락 지속
2025년 1월 한우 도축두수는 이른 설의 영향으로 전년 동월 대비 12.8% 감소했으나 2월에는 5.2% 증가했고, 추세적으로 증가세가 이어지고 있다. 한우 월별 도축두수 추세치(12개월 평균)는 2월 기준 8만두를 상회했고, 이는 기존에 도축두수 최대치를 기록했던 2013년 수치보다도 높은 수준이다.
2025년 2월 말일 기준 30개월령 수소가 전년 동월 대비 8.4% 많고, 32개월령은 20.4% 많은 등 도축 적령기 수소 사육두수가 많아 도축두수 증가세가 이어질 전망이다. 그러나 25~29개월령 수소 사육두수가 이미 전월 대비 감소세에 접어들었으므로 도축두수 증가세는 오래 지속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한우고기 도매가격은 2024년 말 상승세를 보였으나 2025년에는 하락해 1월 kg당 1만7608원에서 3월(1~24일) 1만7065원으로 낮아졌다. 경기 침체로 한우고기 수요가 위축되는 반면, 한우 도축두수는 증가세가 지속돼 한우고기 도매가격이 하락하고 있다.
2025년 3월(1~24일) 현재 한우고기 도매가격은 2018년 가격과 유사한 수준인 데 비해 소매단계 가격은 여전히 2021년과 유사한 수준으로 높고, 도매가격과 소매가격의 격차가 크게 벌어졌다. 따라서 도매가격이 하락함에도 불구하고 수요는 늘지 않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송아지 가격이 2024년에 추세적으로 상승하다가 연말에는 하락했고, 2025년 들어 암송아지 가격이 상승세에 접어든 반면 수송아지 가격은 약보합세에 그쳤다. 암소 번식의향이 서서히 살아남에 따라 암송아지 가격은 상승하고 있으나 한우고기 도매가격 하락으로 수송아지 가격은 약보합세에 머물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암소 도축률이 2024년부터 상승세가 멈췄고, 인공수정률은 2021년 이후 급락하다가 2024년부터는 완만하게 상승해 암소 번식의향이 느리게 회복 중이다. 번식우 사육두수가 2023년 7월부터 전년 동월 대비 감소세에 접어들어 점차 감소 폭이 커지다가 2025년에는 감소 폭이 줄어들고 있다.
소고기 수입량은 2025년 1~2월 10만2000톤으로 전년 동기 대비 3.2% 증가했으나 2023년 수입량이 전년 대비 0.3% 감소한 데 이어 2024년에도 2.5% 감소해 추세적으로 감소하고 있다. 소고기 평균 수입가격은 2024년 12월 kg당 1만3335원으로 최고가 경신 후 2025년 2월 kg당 1만1362원으로 낮아졌으나 추세적으로 상승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