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27 (토)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올 한우 공급량 증가로 도매값 kg당 1만8천원 예측

KREI, ‘농업전망 2024’…소고기 수급 및 가격전망

번식의향 감소, 암소 도축 증가로 사육 마릿수 감소세

도축 마릿수, 전년대비 4.9% 증가한 97만5천두 수준

 

 

“2024년 한우 평균 도매가격(거세우 기준)은 현재 수준의 수요가 유지된다는 가정 시 공급량 증가로 전년 대비 하락한 kg당 1만8천원 내외로 전망된다. 이는 정부 수급 안정 정책이 원활하게 지속된다고 가정할 경우 유지되는 가격이며, 정책 미추진 시 가격 하락폭은 확대될 가능성이 있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KREI)은 지난달 25일 ‘농업전망 2024’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독자들의 이해를 돕기 위해 이날 발표된 내용 중 ‘소고기 수급 및 가격 전망’을 정리했다. <편집자 주>

 

■ 소고기 수급 및 가격 전망

 

◆소이력 정보를 이용한 한육우 사육 및 도축 전망=소이력정보(축산물품질평가원)에 따르면, 한육우 사육 마릿수는 2022년을 정점으로 감소세로 전환되었다. 2023년 12월말 기준으로 한육우 사육 마릿수는 전년 대비 1.8% 감소한 357만7천 마리였다. 
2024년 한육우 도축 마릿수는 거세우를 중심으로 출하 가능한 마릿수가 증가해 전년 대비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2024년 사육 마릿수는 2023년에 이어 2024년에도 1세 미만 마릿수가 감소하고, 도축도 늘 것으로 예상되어 전년보다 감소할 것으로 예측된다. 
암소의 경우, 향후 10개월 내에 송아지를 생산할 수 있는 2024년 가임암소(15개월령 이상)는 누적된 입식 마릿수 영향으로 전년 대비 0.5%, 평년 대비 8.9% 증가한 168만8천 마리였다. 가임암소는 전년 대비 0.5% 증가하나, 육성우는 전년 대비 10.2% 감소해 2024년 한우 암소는 감소할 것으로 예측된다. 
수소의 경우, 2024년에 도축 가능한 18개월 이상 사육 마릿수는 64만8천 마리로 전년 대비 9.7% 증가하였다. 이에 따라 2024년 수소 도축 마릿수는 전년 대비 증가할 것으로 예측된다. 이중 6개월 내에 출하가 가능한 25개월 이상 사육 마릿수는 28만6천 마리로 전년 대비 19.6%, 평년 대비 42.5% 증가하였다. 


2025년에 도축이 예상되는 7~17개월 육성우는 전년 대비 7.3% 감소해 도축 마릿수 정점은 2024년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육우의 경우, 2024년에 도축 가능한 12개월 이상 사육 마릿수는 8만2천 마리로 전년 대비 11.5% 감소해 2024년 육우 도축 마릿수는 전년 대비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중 6개월 내에 출하가 가능한 15개월 이상 사육 마릿수는 6만7천 마리로 전년 대비 7.1% 감소하였다. 2025년 도축이 예상되는 7~11개월 육성우는 전년 대비 19.4% 감소해 육우 도축 마릿수 감소세는 지속될 것으로 예측된다.

 

◆한우 사육 및 도축 전망=2024년 한우 사육 마릿수는 2023년에 이어 2024년 송아지 입식 마릿수 감소로 전년 대비 4.6%, 평년 대비 1.2% 감소한 334만 마리로 전망된다. 
1세 미만 마릿수는 2023년 한우 가격 하락 및 가축 질병 발생으로 정액 판매량이 줄어 전년 대비 9.9% 감소한 84만3천 마리로 전망된다. 1~2세 마릿수는 2023년 송아지 생산 마릿수 감소로 전년 대비 10.0% 감소한 91만4천 마리로 예측된다. 2세 이상 마릿수는 누적된 입식 마릿수 영향으로 전년 대비 2.1% 증가한 158만4천 마리로 전망된다.


가격 하락에 따른 번식의향 감소, 암소 도축 증가로 사육 마릿수는 2023년에 이어 2024년에도 감소세가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도축 마릿수는 누적 입식 마릿수 영향으로 출하 가능 개체수가 많아 전년 대비 4.9% 증가한 97만5천 마리 수준으로 예측된다.
암소 비육지원사업 약정 이행 등으로 인한 암소 도축 증가 시 2024년 도축 마릿수 및 사육 마릿수는 변동될 가능성이 있다. 
사육 마릿수는 2026년 저점 이후 한우 가격 회복에 따른 입식 의향 회복 등으로 증가세로 전환되어 2033년까지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소고기 수급 및 가격 전망=(단기 전망) 2024년 국내 소고기 생산량은 도축 마릿수 증가로 전년 대비 8.3% 증가한 32만8천 톤으로 전망된다. 
2024년 출하에 영향을 미치는 2021~2022년 송아지 생산이 늘어 거세우 출하 가능 마릿수가 증가하였다. 또한 암소 사육 마릿수도 누적된 마릿수 영향으로 전년보다 소폭 증가하였다.
소 이력제 자료(2023년 12월말 기준)에 따르면, 2024년에 출하 가능한 수소(거세우 포함) 마릿수(18개월 이상)는 전년 대비 9.7%, 암소 사육 마릿수는 0.6%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2024년 한우 가격은 전년 대비 약세가 예상되며, 암소 도축이 더욱 증가할 경우 생산량이 전망치보다 증가할 가능성도 있다.


2024년 소고기 수입량은 관세와 환율 인하에도 불구하고 주요 수입국의 생산량 감소와 수입 단가 상승, 국내 소고기 가격 하락 등으로 인하여 전년 대비 1.3% 감소한 44만8천 톤으로 전망된다.
호주는 조기 도축 등의 영향으로 생산량이 증가하겠으나, 미국의 생산량 감소로 전체 수입량은 감소할 것으로 예측된다.


2024년 소고기 공급량은 수입량이 감소하나, 국내 도축물량 증가로 전년 대비 2.6% 증가한 77만6천 톤으로 전망되며, 1인당 소비가능량은 15.1kg으로 예상된다. 수입량 감소와 국내 생산량 증가로 국내산 소고기 자급률은 전년보다 2.3%p 상승한 42.3%로 예측된다. 2024년 한우 평균 도매가격(거세우 기준)은 현재 수준의 수요가 유지된다는 가정 시 공급량 증가로 전년 대비 하락한 kg당 1만8천원 내외로 전망된다. 정부 수급 안정 정책이 원활하게 지속된다고 가정할 경우 유지되는 가격이며, 정책 미추진 시 가격 하락폭은 확대될 가능성이 있다.

 

◆중장기 전망=국내 소고기 생산량은 2024년 정점 이후 사육 마릿수 감소 영향으로 2028년까지 감소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2028년 국내 소고기 생산량은 28만2천 톤으로 예측되며 이후 반등하여 2033년 31만8천 톤까지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2025년 소고기 수입량은 한우고기 도매가격 반등과 환율, 관세 인하 및 단가 하락 영향 등으로 점진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미국에 이어 호주 관세도 철폐되는 2028년 수입량은 48만7천 톤, 2033년에는 50만4천 톤 수준까지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2024년 도축 마릿수 정점 이후, 2025년 감소세로 전환되나 2025년 도축 마릿수는 90만 마릿대로 여전히 공급 과잉이 우려되는 수준이다. 2025년 한우 평균 도매가격(거세우 기준)은 kg당 1만8,500원 내외 수준으로 전망되며, 이후 사육 마릿수 감소로 도축 가능 개체수가 감소하고 점진적인 가격 상승세가 예상되어 2028년은 2만원 내외, 2033년은 2만1천원 내외로 전망된다. 


1인당 소비가능량은 소고기 공급량이 증가하는 2025년까지 증가한 후 2028년까지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2025년 15.1kg까지 증가하며, 2028년은 미국과 호주산 소고기 관세가 모두 철폐되어 수입량이 증가하나 국내산 소고기 공급량 감소로 15.0kg까지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후 국내 생산량 및 수입량 증가로 2033년에는 16.2kg까지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소고기 자급률은 국내산 소고기 생산량 증가로 2024년 42.3%까지 증가한 이후 사육 마릿수 감소에 따라 2028년 36.6%까지 하락할 전망이다. 이후 관세 철폐 등에 따라 소고기 수입량은 증가하겠으나 국내산 소고기 생산량 증가폭이 더 클 것으로 예상되어 자급률은 점진적인 상승세가 예상된다.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