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우의 우수한 맛과 문화가 홍콩 지상파 방송 Viu TV를 통해 동남아 및 중동지역 15개국에 송출된다. Viu TV의 ‘주홍콩 고향의 맛’ 「The Familiar Taste」라는 프로그램에서는 한식 대표 음식으로 한우를 선정하고 오는 9월 말 10부작에 걸쳐 한우의 맛과 문화를 조명한다. ‘한우의 맛’ 편에서는 최재원 주홍콩한국문화원장이 출연해 한우 사육부터 소비까지 전 과정에 걸친 안전성과 한우의 가치, 맛, 문화 등 한우 우수성을 알린다. 또한, 호스트와 함께 한우구이와 뭉티기, 차돌박이, 갈비탕 등 한우 요리를 시식하며 한식 반찬을 곁들인 상차림과 한국 식문화에 반영된 한우 스토리를 소개하고 홍콩식 훠궈에 한우고기를 접목해 양국 문화를 교류하는 시간을 갖는다. 이번 방송촬영은 농림축산식품부(축산정책과)와 주홍콩문화원의 적극적인 한국문화 알리기 노력과 홍콩문화 교류 활동의 일환으로 전국한우협회가 인증하는 해외 한우 우수판매점 갈비타운에서 진행됐다. Viu TV의 ‘한우의 맛’ 방송은 홍콩 외에도 싱가포르, 카타르, 사우디아라비라, 태국 등 중동 및 동남아 국가 15개국으로 폭넓게 방송되기 때문에 한우 홍보 효과가 매우 클 것으로 기대된다. 향후 한우
축종별 현실 반영한 사료구매자금 지원 지침 마련 정부 차원 품목별 자급률 기준 제시돼야 농식품부 축산정책국과 축산관련단체협의회, 농협 축산경제는 지난달 24일 세종시 토바우식당에서 ‘축산업 정책 방향 논의를 위한 소통 간담회’를 개최했다. 이날 간담회에는 김정욱 농식품부 축산정책관, 강동윤 축산정책과장, 서준한 축산환경자원과장, 서정호 축산유통팀장을 비롯한 축종별 사무관 등이 참석했다. 축단협은 손세희 회장(한돈협회장)을 비롯해 민경천 전국한우협회장 등 11개 단체장이 참석했으며 안병우 농협 축산경제대표이사도 함께 자리했다. 이날 손 회장을 비롯한 생산자단체장들은 농업 주무부처인 농식품부가 축산인의 권익향상을 위해 보다 적극적으로 노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손 회장은 “정부 차원에서 축산 품목별 자급률 기준이 제시돼야 한다”며 “식량안보를 고려한다면 정부 자급률 목표가 선행된 이후 수급 조절이나 지원정책이 뒷받침되는 것이 마땅하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현재 정부의 중점 추진정책인 동물복지나 탄소중립 정책 역시 자급률 정책과 부합하는 정책인지 검토해봐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민경천 전국한우협회장은 “사료구매자금지원 지침을 마련할 때 각 축종별
한우고기 수요 코로나 직전 수준 회복세 도축두수 증가폭이 더 커 도매가격 하락 민간씽크탱크인 GS&J인스티튜트는 지난 13일 ‘송아지 가격 약상승, 한우고기 가격은 약세 지속’이라는 한우동향을 발표했다. 독자들의 이해를 돕기 위해 요약내용을 정리했다. <편집자 주> 한우 도축두수는 증가세가 이어져 5월에 전년 동월 대비 4.0% 증가하였고, 수소 사육두수가 전년 동기보다 많아 도축두수 증가세가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한우고기 도매가격은 2024년 5월 kg당 1만5112원으로 전년 동월 대비 2.4% 낮았고, 평년보다는 21.4%나 낮았는데, 한우고기 수요가 2023년 말 이후 코로나 직전인 2019년 수준으로 회복세를 보이고 있지만, 도축두수 증가폭이 더 커 도매가격이 하락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한우 번식용 암소 두수 추정치는 2024년 2월 5.2% 이후 비슷한 감소율이 이어지며 감소세 둔화가 주춤한 상태로, 2~3세를 제외한 모든 연령의 암소 사육두수가 전년 동월 대비 적어 향후 일정 기간 한우 번식용 암소 두수 감소세가 이어질 전망이다. 송아지 가격은 2024년 들어 상승세가 주춤했으나 5월에는 암, 수 각각 241만원, 342
한우는 키울수록 손해만 본다는 정부 통계 결과가 발표됐다. 통계청이 지난달 30일 발표한 ‘2023년 축산물생산비조사 결과’를 살펴보면 한우 비육우 마리당 순수익은 -142만6000원을 기록했다. 한우 한 마리를 키워 얻은 모든 수입을 다 합해도 사육할 때 드는 비용을 제하면 오히려 142만6000원 손해를 본다는 얘기다. 이는 축산물 수익성이 역대 최악 수준이었다던 전년보다도 순수익이 106.8%(-73만6000원) 감소한 결과다. 한우 번식우 역시 마리당 순수익이 -127만6000원으로 전년보다 211.9%(-86만7000원)나 떨어졌다. 반면 송아지 마리당 생산비는 497만원으로 전년대비 13.7%(59만8000원) 증가했다. 이처럼 수익이 급감한 가장 큰 원인은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으로 국제 곡물 가격이 폭등하면서 사료비가 크게 올랐기 때문이다. 송아지 사료비는 9.2% 올랐고, 한우의 경우 비육용 배합사료는 2.9%, 번식용은 2.7% 올랐다. 반면 한우의 경우 거세우 경락가격은 1kg당 전년 2만980원에서 1만8619원으로 11.3%, 암컷 산지가격은 600kg당 전년 555만9000원에서 466만9000원으로 16.0% 각각 떨어졌다.
‘가축분뇨 관리와 처리방식 다각화’ 업무협약 체결 축산분야 환경개선·온실가스 감축 정책 탄력 기대 농식품부와 환경부가 가축분뇨의 환경친화적 관리를 위해 손을 잡았다. 지난 3일 두 부처에 따르면 송미령 농식품부 장관과 한화진 환경부 장관은 지난달 31일 충남 논산계룡축협 자연순환농업센터에서 ‘가축분뇨의 환경친화적 관리와 처리방식 다각화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날 협약은 탄소중립이라는 시대적 흐름에 발맞춰, 현재 퇴액비화 중심의 가축분뇨 처리 구조를 친환경적 신산업으로 전환할 필요가 있다는 양 부처의 공통된 인식에서 마련됐다. 두 부처는 가축분뇨 처리 방식을 바이오가스, 고체연료 생산 등으로 다각화하고 현장 여건에 맞게 관련 제도를 개선하기로 했다. 또 축산환경 실태조사를 진행하고, 데이터베이스 기반의 정책을 수립하는 데도 협력한다. 두 부처의 협력으로 가축분뇨의 바이오차·재생에너지화 등 신산업화에 속도가 더해지고, 축산분야 환경개선 및 온실가스 감축 정책도 탄력을 받을 것으로 기대된다. 송미령 농식품부 장관은 “축산업 현장에서 겪는 어려움을 신속히 개선하고, 두 부처가 신산업 육성 등 시너지를 낼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화진 환경부 장관
전국한우협회는 지난 14일 성명서를 통해 “FTA피해보전직불금 한우·한우송아지 품목 선정을 환영한다”면서 “다만, 발동요건·보전금상향·일몰연장 등 제도적 보완을 요구한다”고 밝혔다. 한우협회는 성명서에서 “지난 12일 농식품부는 2024년 FTA피해보전직접지불금(FTA직불금) 지원대상에 한우와 한우송아지 외 2개 품목을 선정한다고 행정예고를 실시했다. 이에, 그간 수입소고기로 피해를 입은 한우농가들이 그나마 일부 가격하락분을 보전받을 수 있게 된 것에 대한 환영과 농식품부에 감사의 인사를 드린다”며, “한우값이 폭락한 지금의 시점에 몇 가지 제도적 보완과 당부의 말을 전하고자 한다”고 덧붙였다. 한우협회는 “먼저, FTA직불금은 공짜가 아니다. 이는 그간 수입소고기로 인한 한우농가들의 피눈물에 대해 정당히 지급해야 하는 당연한 피해보전금일 뿐이다. FTA직불금의 취지는 FTA 이행으로 수입량이 급증해 가격하락의 피해를 본 품목에 가격하락분의 일부를 보전해 주는 제도이지만, 사실상 지급기준이 세가지 요건을 모두 충족해야하는 까다로운 조건으로 유명무실한 제도라고 불렸다. 실제, 2013년 2개 품목(한우·한우송아지)이 처음 지급되었고, 2014년 4개 품목(한우
한육우 사육농장수가 크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통계청이 발표한 2024년 1분기 가축동향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 1분기 한육우 사육농장수는 8만5611호로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5007호(-5.5%) 감소했다. 이 중 한우농가는 8만6922호에서 8만2227호로 4695호(-5.4%) 감소했으며 육우농가는 6765호에서 6193호로 572호(-8.5%) 줄어든 것으로 집계됐다. 규모별 한육우 사육농장수 증감을 살펴보면 50마리 미만 농장이 지난해 1분기 6만8345호에서 6만3998호로 4347호(-6.4%) 감소했는데 이는 50~100마리 미만 농장이 331호(-2.5%), 100마리 이상 농장이 329호(-3.7%) 줄어든 것에 비하면 큰 폭으로 줄어든 수치다. 같은 기간 한육우 사육마릿수는 363만2000마리에서 349만1000마리로 14만1000마리(-3.9%) 감소했다. 이 중 한우는 347만 마리에서 335만4000마리로 11만7000마리(-3.4%) 감소했으며 육우는 16만2000마리에서 13만7000마리로 15.3% 줄어들었다. 통계청 관계자는 “2세 이상 마릿수는 증가했으나 한우 가격 하락에 따른 암소 감축, 농가의 번식 의향 감소
돼지 39%·한육우 34%…가축분뇨 전체발생량 73% 차지 농장주 평균연령 62세·30년 이상 종사자도 40% 달해 우리나라의 가축분뇨 중 73%는 돼지, 한육우 농장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농식품부와 축산환경관리원은 이 같은 내용을 담은 ‘2023년 축산환경 조사’ 결과를 최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돼지, 한육우, 젖소, 닭, 오리 등 5종의 가축을 키우는 10만2422개 농가 가운데 표본 추출한 1만5000여 곳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실태 파악 과정에서 가축분뇨는 1년간 5087만1000톤이 발생한 것으로 추정됐다. 돼지 분뇨가 1967만9000톤(39%)으로 가장 많았다. 한육우의 분뇨는 1751만1000톤(34%)이었다. 이들 축종의 분뇨는 전체 발생량의 73%를 차지했다. 가축분뇨의 51.5%(2619만톤)는 농가에서 자체적으로, 나머지 48.5%는 전문 시설 위탁 방식을 통해 처리됐다. 동물의 몸에서 나온 분뇨의 73%와 12%는 각각 퇴비 및 액비로 활용됐다. 특히 돼지를 제외한 대다수 분뇨는 퇴비로 쓰였다. 농가 중 55%는 악취를 줄이기 위해 안개 분무기 등과 같은 장비를 보유하고 있었다. 62%는 다양한 미생물 제제를 사용했다. 가
송미령 농식품부 장관은 지난 16일 축산단체협의회 신임 회장단과 정책간담회를 갖고, 최근 축산물 수급안정 상황에 대한 감사와 가축질병 방지를 위한 철저한 방역관리를 당부했다. 송 장관은 참석자들에게 “최근 사료비 상승 등 어려운 여건에도 안정적으로 축산물을 공급하는 농가의 노고에 감사드린다”고 말했다. 이어 농식품부에서 추진하고 있는 농가 경영비 부담 완화 정책과 지속가능한 축산업을 목표로 마련 중인 한우 등 중장기 산업발전 방안에 대해 설명했다. 축산단체협의회장단은 간담회에서 농업 주무부처로서 농식품부가 농업인 권익향상을 위해 보다 적극적으로 노력해줄 것을 요청했다. 이와 함께 축산물 수입 증가에 대응해 농식품부가 국내 축산업 발전을 위해 대책을 마련해 달라고 건의했다. 송 장관은 “우리나라 축산물 소비량은 매년 증가하고 있고 국민 식생활에 없어서는 안될 중요한 한 축이 됐다”면서 “앞으로 현장과의 소통과 혁신을 핵심가치로 삼아 축산업이 국민께 사랑받는 산업이 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민간씽크탱크인 GS&J인스티튜트는 지난 16일 ‘한우고기 수요 위축, 도축 대기 두수 누증’이라는 한우동향을 발표했다. 독자들의 이해를 돕기 위해 요약내용을 정리했다. <편집자 주> 최근 도매가 하락 kg당 1만6000원 밑돌아 시장 관망세 송아지 입식의향 회복세 보이고 있으나 농가 신중 기해 한우 도축두수는 2월에 전년 동기 대비 7.8% 감소한 데 이어 3월에도 10.1% 감소하였고, 한우고기 도매가격 하락에 따른 도축 지연 현상으로 사육두수 증가에도 불구하고 도축두수는 감소하여 도축 대기 두수가 증가하고 있다. 한우고기 도매가격은 2월 소폭 상승 후 3월에는 전월 대비 4.9% 낮은 kg당 1만5634원이었고, 도축두수 감소와 지속된 한우 할인 행사에도 불구하고 도매가격이 하락하여 경기 부진으로 한우고기 수요가 위축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4월(1~8일) 도매가격은 kg당 1만5754원으로 소폭 상승하였으나 도축 대기 두수가 많아 향후 도축두수가 증가할 전망인 데다 한우고기 수요는 위축되어 있어 추세적으로 한우고기 도매가격이 하락할 것으로 판단된다. 한우 번식용 암소 두수 추정치는 2023년 6월을 기점으로 전년 동월 대비 감소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