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9.13 (금)

  • 흐림동두천 26.8℃
  • 흐림강릉 27.7℃
  • 서울 27.9℃
  • 구름조금대전 32.1℃
  • 흐림대구 31.9℃
  • 구름조금울산 32.5℃
  • 구름많음광주 32.5℃
  • 맑음부산 32.4℃
  • 구름조금고창 33.0℃
  • 구름조금제주 32.2℃
  • 흐림강화 26.2℃
  • 구름많음보은 30.1℃
  • 구름많음금산 31.7℃
  • 구름조금강진군 33.2℃
  • 구름많음경주시 33.5℃
  • 구름조금거제 30.2℃
기상청 제공

민관학 소 방역대책위원회, 한우질병 청정화 시발점돼야

[데스크 칼럼]장 기 선 / 한우신문 편집인 

2014년 출범 전국한우협회 한우질병방역협의회 업그레이드 버전 
‘예산 뒷받침’·‘농가 중심 운영’으로 청정 한우산업 이뤄내길 
질병 발생은 평온한 농장의 삶 황폐화, 불황기엔 폐업 촉진 원인

 

한우 질병·방역 대책의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침이 없다.
8월 12일 경기도 안성시 소재 한우농장에서 럼피스킨이 확진되어, 양성 확인 6마리가 살처분되었다. 올해 첫 번째 발생이며 지난해 11월 경북 예천 발생 이후 9개월여 만이다.


이에 따라 경기 안성시 및 인접 10개 시군에 대해 8월 12일~14일까지 48시간 동안 농장·도축장·사료공장 등 축산 관계시설 종사자와 차량에 대한 일시이동중지(Standstill) 명령이 발령되었다. 경기 안성시 및 인접 10개 시군에 대한 긴급 백신접종도 이뤄졌다.


가뜩이나 불황으로 경영난에 빠진 한우농가에게 한우 질병 발생은 ‘업친데 겹친격’이다. 한우 소비 위축으로 인한 한우가격 추가 하락이 걱정되기 때문이다. 한우 질병 발생은 평온한 농장의 삶을 황폐화 시키고, 불황기에는 한우농장 폐업을 촉진하는 요인이 되기도 한다. 


한우 질병·방역을 위한 중장기적 대책의 중요성은 해외 광우병 발생과 국내 구제역 발생 경험을 통해 입증되었다. 또한 브루셀라병 및 결핵병 근절 노력을 통해 충분히 경험해 왔다.


이런 점에서 지난 8월 7일 발족한 ‘민관학 소 방역대책위원회’의 활동이 새롭게 기대된다.
‘민관학 소 방역대책위원회’는 전국한우협회장과 한국낙농육우협회장, 농림축산식품부 방역정책국장의 민관 공동위원장 체제로 운영되고, 농식품부·검역본부·협회·학계 전문가를 위원으로 위촉해 구성되었다. 또한 농장 현장의 수용성 및 효율성을 고려한 방역대책 어젠다 발굴과 대안을 수립하기 위해 주요 질병별 전문가협의회 중심으로 운영키로 했다.


소 질병분야 방역추진 관련 한우농가의 요구사항을 파악하고 △브루셀라병 예찰체계 개선방안 및 근절 대책 △결핵병 방역관리 강화방안 및 발생 최소화 대책 △BVD(소바이러스설사병) 전국 검색사업 도입방안 마련 및 발생 최소화 대책 △필요시 기타 소 질병 관련 방역대책 논의를 통해 소 질병분야 방역대책(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민관학 소 방역대책위원회’는 반기별로 1회, 주요 질병별 전문가협의회는 분기별로 1회 개최된다.


농림축산식품부가 주도적으로 주요 질병 방역대책 마련에 나섰다는 점에서 매우 고무적이다. 무엇보다도 질병 근절을 위해서는 대책을 뒷받침할 방역 예산 확보가 중요하기 때문이다.


 ‘민관학 소 방역대책위원회’의 전신은 전국한우협회가 운영해 온 한우질병방역(결핵박멸)협의회이다.
한우자조금을 재원으로 2014년 출범한 한우질병방역협의회는 전국한우협회장과 박영호 서울대교수를 공동위원장으로 위원회를 구성, 브루셀라병 결핵병 소바이러스설사병 근절 대책의 정부 건의 및 농가 민원의 해결 창구로서의 역할을 수행해 왔었다. 2020년 이후 코로나19로 인해 활동이 중단되었으나, 이번 ‘민관학 소 방역대책위원회’로 업그레이드 되었다.


한우질병방역협의회는 그동안 결핵병 검사 의무화 및 검사증명서 도입, 브루셀라병·결핵병 검사증명서 유효기간 및 백신 접종시 유사산 인정시한 연장 등 현장 목소리를 반영한 방역정책에 대한 대정부 건의 창구로 활동해 왔었다. 특히 민간 차원에서 자율적으로 운영됨으로써 한우농가 중심의 방역관리에 대한 다양한 논의와 건의가 이뤄질 수 있었다. 


이제 ‘민관학 소 방역대책위원회’는 규제와 통제 위주의 방역 정책에서 벗어나 한우농가 목소리를 수렴해 정책에 반영하는 ‘농가 중심 운영’의 묘를 실현해야 한다. 예산이 뒷받침된 정책 구현을 통해 한우농가 중심의 청정 한우산업을 이뤄내고, 구제역 청정국 지위 회복을 통해 한우 수출의 활로도 열어나가야 한다. ‘민관학 소 방역대책위원회’의 활발한 활동을 기대해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