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추동물의 메탄생성균은 다 똑같을까? 결론적으로 우점균이 같아 메탄 저감 기술을 보편적으로 적용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국립축산과학원은 국내에서 사육하는 한우, 젖소, 염소의 반추위에 있는 메탄생성균(메탄을 생산하는 미생물)을 분석해 축종에 따른 차이를 비교했다고 최근 밝혔다. 국립축산과학원에 따르면 동물의 위에는 수많은 미생물이 살고 있으며, 동물이 먹는 사료의 소화와 흡수를 돕는 역할을 한다. 이와 동시에 장내 발효과정에서 대기를 오염시켜 온실 효과를 일으키는 온실가스인 메탄을 배출하기도 한다. 소, 염소와 같은 반추동물의 반추위 안 메탄생성균의 종류와 구성비는 가축을 기르는 방식과 먹이는 사료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반추위의 메탄 생성을 조절하기 위해서는 해당 미생물에 대한 자세한 정보가 필요하다. 그동안 반추동물 메탄생성균에 대한 국내 연구는 한우에 국한됐으며, 축종 간 비교 연구는 없었다. 이번 연구에서는 한 종의 유전체뿐만 아니라 환경에 존재하는 여러 종의 미생물 군까지 분석하는 메타게놈 기법을 이용했다. 연구 결과, 우리나라에서 사육하는 반추동물의 메탄생성균은 한우에서 6개 속(屬), 젖소에서 4개 속, 염소에서 3개 속이 존재하는 것을 확인했
송아지 가격 상승 영향으로 올해 3분기 한육우 사육마릿수가 증가했다. 통계청이 최근 발표한 가축동향조사에 따르면 3분기 한육우 사육마릿수는 339만6000마리로 전년동기대비 12만8000마리(3.9%) 증가했다. 송아지 산지 가격 상승에 따른 번식우가 늘어난 영향이라고 통계청은 설명했다. 이와 함께 젖소, 산란계 사육도 증가한 반면 돼지, 육계, 오리는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젖소는 40만8000마리로 전년동기대비 4000마리(1%) 증가했다. 전년도 생산 마릿수가 증가해 1세 미만 사육 마릿수가 증가했다. 산란계 사육마릿수는 7385만3000마리로 전년 동기보다 295만8000마리(4.2%) 증가했다. 돼지와 육계는 나란히 감소했다. 돼지는 1135만5000마리로 전년동기대비 34만8000마리(-3%) 줄었다. 모돈 감소에 따른 생산량이 감소했기 때문이다. 육계는 8820만3000마리로 전년 대비 32만6000마리(-0.4%) 감소했다. 오리도 928만6000마리로 전년동기대비 40만8000마리(-4.2%) 감소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