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 횡성군은 지역 6개 한우 기관·단체와 지속 가능한 횡성한우 발전과 가치를 높이기 위해 상생 협약을 체결하고 소통과 협력에 나선다고 지난달 30일 밝혔다. 횡성한우는 1995년부터 시작된 명품화 사업과 횡성한우축제 개최, 군수 품질 인증제 도입, 횡성한우 6차 산업화지구 조성사업 등으로 전국 제일의 브랜드로 인정받았다. 하지만 앞으로 미국, 호주, 캐나다 쇠고기의 관세 철폐 등이 예정된 만큼 횡성한우 브랜드를 지키기 위해 다양한 노력이 필요하다는 것을 인식하고 지역단체와 소통·협력을 강화한다는 방침이다. 이번 협약에는 군과 전국한우협회 횡성군지부, 횡성축산업협동조합, 횡성한우농협유통사업단, 횡성한우협동조합, 축산기업중앙회 횡성군지부, 횡성한우승계농업연구회가 참여했다.<사진> 군은 이번 상생 협약서를 액자로 만들어 관련 기관‧단체에 배부하고 의견을 수렴하는 등 소통의 시간도 가질 예정이다. 장신상 군수는 “횡성한우의 지속적인 발전을 위해 관련 단체들이 협력하고 상생하는 초석을 다지는 것이 중요하다”며 “앞으로 내용을 구체화하고 횡성한우가 현재의 명성을 유지하면서 한 번 더 도약할 수 있는 계기를 만들겠다”고 말했다.
경남도 축산연구소는 암소 수태율 개선에 효과가 있는 ‘코팅베타카로틴제’를 개발해 특허등록 및 민간기술 이전을 완료했다고 최근 밝혔다. 베타카로틴은 식물체에 존재하는 천연색소다. 가축에게 먹이면 암컷 번식기관(난소 및 자궁)에 항산화제로 작용해 소를 비롯한 가축 암컷 수태율 개선에 도움을 준다. 경남도 축산연구소에 따르면 기존 베타카로틴은 소의 반추위(되새김위) 미생물에 의해 상당량 분해돼 그 효능을 기대하기 어렵다. 경남도 축산연구소가 개발한 코팅베타카로틴제는 반추위를 우회해 소장에서 흡수되도록 해 기존 베타카로틴제보다 효과가 높아진다. 경남도 축산연구소는 2017년부터 4년간 연구 끝에 코팅베타카로틴제를 개발해 지난해 8월 특허등록을 마친 뒤 민간기업에 기술을 이전해 상품으로 판매되고 있다고 밝혔다. 축산연구소는 코팅베타카로틴을 먹인 소에서 비코팅베타카로틴을 먹인 소보다 혈중 베타카로틴 농도가 1.7배 높았다고 설명했다. 수정란 이식을 위한 저수태 한우 대리모 199마리를 선정해 수태율 검증시험을 한 결과 급여군(34%)이 비급여군(25%)보다 수태율이 35% 개선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축산연구소는 체내 흡수된 베타카로틴이 난소와 자궁내 항산화
제주지역 최고 한우와 흑우를 가리는 대회가 처음으로 열린다. 농협중앙회 제주지역본부는 오는 23일 서귀포시 표선면 조랑말체험공원에서 ‘제1회 제주 한·흑우 경진대회’를 개최한다고 지난 8일 밝혔다. 대회는 외모와 육질 심사로 나눠 진행된다. 외모 심사에는 지난 8월부터 제주축협과 서귀포시축협을 통해 참가 신청한 한우와 흑우 27마리가 출품된다. 대회 당일 한국종축개량협회가 현장 심사를 벌여 외모가 우수한 한우와 흑우를 선발한다. 육질 심사는 지난 7월부터 10월 중순까지 제주축협 축산물공판장에 출하된 한우와 흑우를 대상으로 축산물품질평가원이 심사를 마쳤다. 시상은 대회 당일 한다. 외모와 육질 심사에서 우수한 성적을 거둔 최우수 한우와 흑우 농가에는 각각 200만원의 상금을 지급한다. 우수 농가에는 각 100만원, 장려 농가에는 각 70만원을 지급한다.
올해 최고 등심단면적 185㎠를 기록한 한우 거세우가 등장해 이목을 끌고 있다. 출하자는 전남 영광군에서 한우를 사육하고 있는 윤춘임 농가다. 윤춘임 농가는 농협음성공판장에 29개월령 된 한우 거세우를 출하해 ㎏당 경락가격 4만2775원, 지육가격 2395만4000원을 기록했다. 도체중 560㎏, 등지방두께 9㎜, 육량지수 66.09로 매우 우수한 성적을 기록했다. 특히 등심단면적은 185㎠로 전국 평균(95.3㎠)보다 90㎠ 크게 나타나 올해 최고 기록으로 이름을 올렸다. 윤춘임 농가는 올해 거세 한우 61두를 출하했다. 출하개월령이 전국평균보다 무려 3.4개월이나 빠름에도 도체중은 13㎏ 크고, 지육 1㎏당 평균 경락가격은 2217원 높게 나타나는 등 월등하게 좋은 성적을 나타냈다. 윤춘임 대표는 “구입부터 성우 출하까지 할 수 있는 모든 정성을 쏟았는데 좋은 결과가 나와서 기쁘다”며 “앞으로 각 사양단계별 최고의 효율을 낼 수 있도록 보완해 더 좋은 성적을 내겠다”고 말했다.
전남도는 지난 1일 보성축협 가축시장에서 ‘제37회 전라남도 한우경진대회’를 열어 전남 우량한우 챔피언과 함께 최고 고급육을 선발했다. 경진대회 최고상인 ‘우량한우 종합챔피언상’은 장성 장명국 농가가 차지해 시상금 500만원을 받았다. 고급육품평회 최우수상은 고흥 류중원 농가가 뽑혀 시상금 150만원을 수상했다. 한우경진대회 최우수 시군으로는 고흥군이 뽑혀 시상금 120만원을 획득했다. 올해 한우경진대회 일환으로 열린 고급육품평회는 2008년 이후 12년 만에 열렸다. 최근 농협 나주축산물공판장에서 열린 경매에서 류중원 농가의 출품우는 1kg당 2만3000원 수준인 일반 한우고기의 2.4배나 되는 1kg당 5만5110원에 거래됐다. 총금액은 도내 역대 최대가격인 3000만원을 달성, 전남 최고 한우고기의 위상을 입증했다. 김영록 지사는 축사에서 “전남 한우 개량을 위해 노력한 한우농가에 진심으로 감사하다”며 “전남도는 지속적인 한우 개량을 통해 대한민국 한우산업을 주도하고 새로운 축산업의 희망이 되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대회에는 김영록 전남도지사와 김철우 보성군수, 김재영 전국한우협회 광주전남지회장, 장기선 한우자조금 사무국장, 박서홍 농협 전남지역본부
경남도는 고품질 한우 생산과 개량 기반이 되는 우량암소를 전국에서 가장 많이 사육하고 있다고 최근 밝혔다. 올해 3분기 기준 전국 6418농가에서 사육되는 1만1537마리의 한우 우량암소 중 경남은 1391농가, 2557마리를 사육해 전국의 22%를 차지하고 있다. 우량암소는 새끼소 도축 성적이 육질 1++ 등급 이상, 등심단면적 110㎠ 이상, 도체중 480kg 이상 등을 만족하는 우수 한우를 출산한 암소를 일컫는다. 가축개량 국가업무 대행 단체인 한국종축개량협회가 지정·관리한다. 우량암소 사육두수가 많다는 것은 한우 개량 정도와 고품질 한우 생산 기반이 우수한 것을 의미한다고 경남도는 전했다. 특히 도내에서는 한우 사육 규모가 큰 합천군이 482마리, 거창군이 477마리의 우량암소를 사육하고 있다. 2개 군지역 우량암소 사육두수는 웬만한 다른 광역지자체 사육 규모와 맞먹는다. 앞서 경남도는 2004년부터 매년 10만 마리 이상의 한우 등록사업을 추진 중이다. 지난해부터 우량암소 생산농가에 마리당 30만원을 지원해 한우 개량사업을 선도하고 있다. 양진윤 경남도 축산과장은 “한우 개량은 오랜 시간 기반을 구축해야 한다”며 “우량 한우번식을 통해 경남한우 명품
경북 예천군에 전국 최초로 자동화·대량 생산이 가능한 ‘초유 은행’이 문을 열었다. 경북도내에서는 경주에 이어 두 번째다. 예천읍 생천리에 문을 연 초유 은행은 연 면적 393㎡, 1층 건물로 수집·해동·저온살균·포장·저장실 등 생산 공간과 대량 생산장비를 갖췄다. 또 해썹(HACCP) 인증까지 가능한 저온살균 초유 생산시설로 전국 처음으로 시도되는 모델이다. 예천군은 젖소 분만 뒤 남은 초유를 수거, 위생적이고 안전한 처리 과정을 거쳐 고품질 초유를 한우농가에 공급하기 위해 노력해 왔다. 그 결과 ‘2020 농촌진흥청 농촌지도기반조성사업 공모’에 선정되면서 사업비 10억원을 확보해 초유 은행을 설립했다. 초유 은행은 앞으로 송아지 설사병 70%, 폐사율 30% 이상 감소를 목표로 1000여 한우농가에 초유를 공급하고, 연간 25억원의 추가 소득을 끌어낼 계획이다. 우병국 한우협회 예천군지부장은 “초유를 충분하게 못 먹은 소들이 병치레를 많이 하는데 면역성을 갖는 초유를 빨리 줄 수 있다는 것은 한우 농가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충남도 축산기술연구소는 국립축산과학원의 보증씨수소 선발을 위한 제81차 당대 검정 결과 자체 육종한 한우 1마리가 후보씨수소로 선발됐다고 최근 밝혔다. 보증씨수소는 한우 송아지 생산을 위한 인공수정용 정액을 공급하는 수소로, 전국 육종 농가와 육종센터가 생산한 한우를 대상으로 우수성을 검정, 선발한다. 당대 검정은 계획교배로 태어난 수송아지 중 우수한 능력의 후보씨수소를 선발하기 위한 가장 기본적인 절차로, 12개월 된 수소 체중과 유전 능력 등을 조사해 우수한 개체를 뽑게 된다. 국립축산과학원은 이번에 전국 육종 농가 및 5개 지방자치단체 육종센터 수송아지 459마리를 대상으로 검정해 35마리를 후보씨수소로 선발했다. 선발된 후보씨수소는 충남 서산에 있는 농협 한우개량사업소에 인계돼 3년간 자손의 능력을 검증하는 후대 검정을 받게 되며, 그 결과에 따라 보증씨수소 선정 여부가 결정된다. 선발된 후보씨수소가 보증씨수소로 선정되면 생산 정액의 50%를 해당 지자체에서 활용할 수 있게 된다. 신용욱 축산기술연구소장은 “앞으로 있을 후대 검정에서 충남 한우가 보증씨수소로 선정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경북 안동 한우가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전국 최상위권 품질 평가를 받았다. 지난 13일 안동시에 따르면 축산물품질평가원이 지난 1월~7월에 전국 한우 등급을 분석한 결과 안동 한우의 1등급 이상 출현율이 88%로 전국 최상위권을 기록했다. 이 기간 안동지역 643개 한우 농가가 출하한 한우 2만493마리 중 1만8043마리가 육질 1등급 이상 판정을 받았다. 1등급 이상 출현율은 경북 평균(76.8%), 전국 평균(74.2%)보다 높다. 한우 육질 등급은 근내지방도, 육색, 지방색, 조직감, 성숙도에 따라 1++, 1+, 1, 2, 3등급으로 판정한다. 안동 한우는 지난해에도 1등급 이상 출현율 87.4%로 전국 최상위권을 차지했다. 안동시 관계자는 “안동지역 축산 환경과 축산 농가의 고급육 생산관리 기술이 다른 지역에 앞서 있다는 것을 입증하는 것이다”며 “안동 한우를 대한민국 최고 명품 한우 브랜드로 발전시키겠다”고 말했다.
동원홈푸드가 운영하는 ‘금천미트’가 제24회 전국한우능력평가대회에서 대통령상을 받은 한우를 사상 최고가인 7046만원에 낙찰받았다고 지난 14일 밝혔다. 이로써 금천미트는 11년 연속 대통령상 한우를 낙찰받게 됐다. 올해 대통령상은 전남 무안군(정훈농장) 박성순 농가가 수상했다. 금천미트가 이번에 낙찰받은 대통령상 한우는 1++A등급, 출하체중 897㎏, 도체중 542㎏, 등심단면적 136㎠, 등지방두께 11㎝, 육량지수 63.38을 기록했다. 거래가는 ㎏당 13만원으로 올해 거래된 전체 한우 평균 경매가 대비 6배 이상 비싸다. 금천미트는 대통령상 한우를 정육점, 식당, 도매업체 등 전국 유통망을 통해 선보일 예정이다. 강동만 동원홈푸드 축육부문 대표이사는 “농가가 장인 정신으로 정성껏 키운 대통령상 한우를 11년 연속 낙찰받은 것에 대해 자부심을 느낀다”고 말했다. 올해 열린 한우능력평가대회는 지난 11일 농가 출하를 시작으로 12일 도축, 13일 경매까지 농협 음성축산물공판장에서 진행됐다. 경매에서는 총 12마리의 한우가 입상축으로 선정됐다. 국무총리상은 전북 김제 고윤석 농가가 출품한 한우가 출하체중 858㎏, 도체중 566㎏, 등심단면적 137㎠,